P2P 투자를 하면서 연체나 끝내 부실로 끝난 경우도 있었으나 최근 비욘드펀드의 연체율이 매우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보니 기대가 컸었던 만큼 개인적으로 많이 아쉽고 실망스럽다. 최근에 P2P투자를 많이 줄이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플랫폼비즈니스의 특성 상 최초의 성공적인 시장안착에도 불구하고 최근 줄연체와 함께 이에 대한 대응 또한 적극적이지 않아 고객 및 마켓쉐어 확보에 대해서도 걱정되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은 완전히 절망적이지는 않고 당분간은 점점 연체율은 낮아지리라는 생각이 든다. 비욘드펀드의 연체 관련 정보는 고객센터 연락도 힘들고 여러모로 찾아본 끝에 아래 공지사항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홈페이지 공지사항 링크에 현황을 정리해두었음을 문자나 카톡으로라도 알려주면 좋았을..
1. 단리란? 복리란? 장단점은? -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자율과 기간을 곱해서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 복리는 일정기간마다 이자를 원금에 합쳐 그 합계금액에 대한 이자를 다시 계산하는 방법이다. 즉, 단리 계산은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고 복리 계산은 '원금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이므로, 복리 계산이 이자가 훨씬 많이 붙게 된다. 수식은 아래와 같다 ▷ 단리: S = A(1+rn) ▷ 복리: S = A(1+r)n (S: 원리금 합계, A: 원금, r: 이자율, n: 기간) 예를 들어 단리 계산법에 따르면 1000만 원, 연리 3%짜리 3년 만기 정기예금의 경우 단리로 계산하면 만기 시 1090만 원을 받게 된다. 10,000,000 × (1 + 0.03 ×3) = 10,90..
2018년 2월 27일 P2P투자 가이드라인 금감원 보도자료에 따라 투자 금액이 조정되었다. 대강 4가지 유형이 있고 아래와 투자 한도 및 증액을 위해서는 근거 자료가 필요하다. 일반 개인 투자자 - 자격요건 : 없음 - [투자 한도] 연간 누적투자금 : 1000만원 - [투자 한도] 동일 차입자 : 500만원 - 증빙서류 : 없음 일반 개인투자자는 P2P 업체당 연간 1000만원까지, 하나의 상품(동일 차입자)에는 500만원까지만 투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에 가ㆍ나ㆍ다 상품이 있다면 가ㆍ나ㆍ다를 합쳐 1000만원까지만, 각각에는 최대 500만원까지만 투자할 수 있다. 다른 B업체 상품을 선택한다면 역시 B업체 전체로는 1000만원, 개별 상품별로는 500만원까지 투자 가능하다. 소득적격 ..
지난 1년간 P2P투자를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내 나름대로 느끼고 깨달은 부분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처음에는 막연하게 두려운 생각으로 시작했었고 다양한 시도 끝에 시간이 지날수록 룰을 정하고 그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이 생기게 되었다.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기본적인 개념과 투자 방식을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려고 한다. 1. P2P투자란 무엇인가?초기에는 클라우드펀딩이라고 더 많이 불렸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P2P투자(대출)로 더 자주 불리는 것 같다. P2P는 Peer to Peer의 약자로 Peer의 '동료' 또는 '응시하다'라는 뜻을 활용하여 플랫폼을 활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를 직접 연결해 뭔가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즉 P2P투자(대출)은 개인투자자와 대출신청자를 직접 연결해주는 서비스로 플랫폼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