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달연대기는 역대 한국 드라마 최대 제작비인 540억을 들여 경기도 오산시에 거대 세트장을 짓고 한 편당 30~40억을 소모하고 호화 캐스팅으로 홍보하고 화제를 모았었다. 하지만 방영 전부터 많은 기대와는 달리 방영 이후에는 난해한 설정과 작품의 완성도를 둘러싸고 평가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회차별 평균 시청률은 아래와 같다. Part 1 '예언의 아이들' 스페셜 2019년 5월 26일 전국 2.290% 수도권 2.804% 1회 2019년 6월 1일 전국 6.729% 수도권 7.736% 2회 2019년 6월 2일 전국 7.310% 수도권 8.222% 3회 2019년 6월 8일 전국 6.435% 수도권 6.454% 4회 2019년 6월 9일 전국 7.705% 수도권 8.952% 5회..
몇년째 자사고 즉 자율형사립고 폐지에 대한 이야기로 교육계가 시끄럽다. 참고로 자사고 현형(19년 6월 기준-연합뉴스 출처)는 아래와 같다. 찬성을 하는 쪽에서는 현재의 특목고인 과학고나 외고나 자사고가 최초의 설립 취지에서 벗어나 옛날의 경기고 같은 입시 전문기관으로 변질되었다는 면을 부각시키고 반대를 하는 쪽에서는 일반고의 교육수준과 분위기가 너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공부를 하고싶거나 잘하는 학생들은 모아서 교육시키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게 실은 학세권이라고 하는 부동산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민감한 주제로 이야기되고 있다. 도대체 자사고가 무엇이고 일반고와 차이는 무엇이길래 재지정이나 폐지 관련하여 시끄러울까? 1. 자사고란? 자립형사립고란? 다양한 교육수요를 수용하겠다는 명분으로 2010..
스타벅스나 서브웨이 등 커피숍, 음식점이나 패스트푸드 점에서 BOGO 라고 아래와 같이 쿠폰을 받거나 이벤트로 BOGOF 혹은 BOGO 50% off 를 가끔 보게 된다. 사실 한국말로는 1+1이라는 말인 건 알겠는데 (50% off는 1+0.5) 영어로 무슨 뜻인가 찾아봤더니 아래와 같았다. 보통은 BOGOF라는 줄임말로 쓰이며 "Buy one, get one free" 의 줄임말이었다. 한국말로는 한개을 사면 한개가 무료 즉 1+1 이라는 말의 앞글자만 따서 읽는 것이다.
증권거래세란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1960년대 도입했다가 70년대 초반에 폐지한 뒤 70년대 후반에 재도입했다. 이게 2019년 3월 21일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통해 발표된 증권거래세 인하 방안의 후속조치로 증권거래세율이 아래와 같이 인하된다. (출처 : 미래에셋대우증권) 6월 3일부이나 실질적으로는 5월 30일 매도 채결 거래부터 적용된다고 하겠다. 하지만 아직도 손실을 보는 경우에도 떼어가기 때문에 '소득 있는 곳에 과세한다'는 조세 원칙과 맞지 않는다는 불만이 많고 해외 사례를 볼 때 미국,일본,독일 등은 증권거래세가 없고, 중국,홍콩,태국은 0.1%, 대만 0.15% 등으로 한국보다 낮은 형편이다. > - 주권 등의 양도가액이며, 양도 시기는 매매거래..
얼마전에야 뒤늦게 넷플릭스를 통해 클로버필드 패러독스를 보았다. 기대했던 만큼 기발하거나 흥미진진하지는 않았지만 J.J. 에이브럼스의 다른 작품처럼 많은 단서들로 많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관련해서 전반적인 스토리 중에 명확하지 않고 궁금했던 부분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1. 배경 시점과 셰퍼드란? 배경은 지구의 에너지 자원이 고갈된 시점으로 휴대폰 배경화면 상의 "7G"를 보면 대강 10년 후의 근미래를 시점으로 잡은 듯하다. 인류는 에너지난을 극복하기 위해 강대국들을 중심으로 양자역학에 기반을 둔 영구기관을 개발하고 그 결과로써 만들어진 입자 가속 장치가 "셰퍼드"이고 우주정거장에서 실험이 진행된다. 2. 셰퍼드를 통한 그들이 이동한 공간은? 패러독스의 의미는? 영화 속 대사 중..
최근에 ~~빌런이라는 글을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예를들어 최근에는 어벤져스 빌런 등의 글도 자주 보이는 데 이 뜻과 유래 그리고 의미에 대해서 알기 쉽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영단어 빌런 villain 의 뜻은? 우선 영단어 빌런 villain 의 뜻은 "악당" 이다. 코믹스 등에 나오는 빌런, 즉 어벤져스 빌런 이렇게 나올 때는 영단어 의미 그대로 "악당 캐릭터"를 의미하게 된다. 2. 빌런 villain 의 유래, 어원은? 어원은 옛 프랑스어인 vilein이고 유래는 라틴어 villanus(농장일꾼)이라고 한다. 이 뜻은 villa(고대 로마의 농장)에서 일한다고 해서 저런 말이 붙은 말인데 놀랍게도 "농민"이라는 뜻이다. 중세시대 가난에 시달리는 당시 농민들이 도적질 등의 범..
요즘 영드 블랙미러를 즐겨보고 있는데요, 화이트 베어라는 이번 에피소드 또한 너무 놀라운 이야기라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영국드라마인 블랙미러의 전체적인 컨셉 등은 공주와 돼지 에피소드 해석과 함께 여기 링크에 정리해두었습니다. 또 다른 에피소드인 베타테스트의 내면의 공포에 대한 단계별 해석 부분은 여기 링크에 정리해두었습니다. 참고로 화이트베어 송신소까지 가는 여정에 대한 내용은 요약 정리하지 않았습니다. #### 아래 내용부터 스포일러 주의 #### 그녀는 누구인가? 그녀가 이런 고통을 당하는 이유는? 여자의 이름은 '빅토리아 스킬레인' 입니다. 약혼자 '이안 래녹'과 함께 어린 여자아이 '제마이마 사익스'를 납치해 데리고 다니다..
ELS응 시작하고 주식투자를 좀 해보고 점점 증권사에수 여러 상품을 찾아보면서 ELS외에 ELB, ELD, DLS와 같은 ELS와 비슷한 상품명을 많이 보게 되는데 분류 기준과 의미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1. 가운데 "L" = Linked 우선 4가지 상품명에 공통적으로 가운데에 들어가 있는 "L"은 Linked의 약자로 상품이 어떤 기초자산에 연계되어 수익률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맨 앞 "E" 혹은 "D" = Equity or Derivatives 제일 앞에 오는 알파벳은 기초자산을 의미하며 E는 주식을 의미하는 Equity D는 파생상품을 의미하는 Derivatives 를 나타낸다. Equity의 약자인 E로 시작하는 상품들은 특정 주식 종목 혹은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이용하..